리케차(rickettsia)를 전파시키는 미생물

리케차는 집먼지진드기(HouseDustMite), 진드기(tick), 벼룩(flea), 빈대(bedbug), 이(lice), 등에(Tabanidae), 진딧물, 먼지다듬이
등을 매개로 하여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참고)
집먼지진드기 퇴치법

참고) 리케차병 (출처:
네이버)
 
오늘날 리케차는 사람에게 일으키는 병에 따라 종류가 크게 나누어져 있는데, 주된 리케차병과 병원체 및 매개(媒介) 절지동물을 들면 다음과 같다.

① 유행성 발진티푸스: 이[?]로 매개되며 병원체는 발진티푸스리케차(Rickettsia. prowazekii)이다.
② 발진열: 쥐벼룩으로 매개되며 병원체는 발진열리케차(R. typhi/mooseri)이다.
③ 로키산열: 진드기로 매개되며 병원체는 반점열리케차(R. rickettsii)이다.
④ 부톤네즈열: 진드기의 일종인 트롬비쿨라로 매개되고 병원체는 지중해열리케차(R. conorii)이다.
⑤ Q열: 일반적인 감염 경로와 열에 대한 반응(내열성) 등이 다른 리케차병과는 상이한데, 주로 공기 또는 접촉에 의해서 감염되며 병원체는 콕시엘라부르네티(Coxiella burnetii)이다.
⑥ 쓰쓰가무시병: 털진드기에 의해서 감염되며, 병원체는 쓰쓰가무시병 리케차(R. tsutsugamushi)이다. 이러한 질병원들에 대한 예방조치는 매개체인 절지동물의 증식을 막거나 면역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리케차성 질환에 효과적인 치료법은 테트라시클린이나 클로람페니콜(테트라시클린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 등의 항생제를 알맞은 시기에 오랜 기간에 걸쳐 적절히 투약한다.





사진의 위쪽은 어떤 종류인지는 모르지만 리케차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먼지다듬이로 추정하며 역시 리케차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위 사진은 진드기



         벼 룩                     빈 대

위 사진은 이(lice)입니다. 오른쪽은 흡혈하는 이.

     

Adult head lice are about
the size of a sesame seed.

Head lice have strong claws to
hold on to hair strands.

Louse eggs are tightly
cemented to the hair strand.



이의 알(egg)이 서캐(nit)입니다.


왼쪽, 가운데는 서캐가 있는 사진이고, 오른쪽은 참빗으로 머리를 빗어서 이와 서캐를 제거하는 모습니다.

앞으로